에어비앤비 첫 달 수익과 운영 구조 현실 정리
에어비앤비 첫 달 수익, 현실은 어땠을까?
처음 한 달, 기대보다 현실이 더 조심스러웠다
에어비앤비 운영을 처음 시작했을 당시, 제 목표는 단순했습니다. 한 달에 100만 원 수익. 강남 반지층이라는 조건, 월세 80만 원이라는 고정비, 청소 비용과 초기 세팅 비용을 고려했을 때 이는 과하지 않은 기대치였습니다.
다행히 숙소 오픈 시점이 여름 성수기와 맞물려, 첫 달 수익은 예상대로 약 1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후기가 없고 초기 노출이 적은 상황이었기에, 객단가는 낮게 책정했고, 대신 예약률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수익보다 더 놀란 건 고정지출의 크기였습니다. 여름 손님을 위한 얼음물, 전통 부채, 간단한 환영 선물 등이 예상보다 비용이 컸고, 청소 외주도 생각보다 자주 들어갔습니다. 결과적으로 첫 두 달은 ‘수익’보다는 시스템 세팅에 집중한 시기였습니다.
운영 4개월차, 수익과 고정비 구조가 안정되기 시작했다
3개월차부터 예약률과 후기가 안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수익 구조가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평균 예약률이 80%를 넘기고, 플랫폼 내 노출 순위가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매출도 증가했습니다.
당시의 월 수익 구조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 총 수익: 약 220만 원
- 월세: 80만 원
- 청소·소모품·세탁: 약 30만 원
- 기타 비품 교체: 4만 원
실제 순수익은 약 110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숫자만 보면 대단해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운영 4개월차에 월 100만 원 이상의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한 것은 분명 의미 있는 결과였습니다.
소자본이지만 꾸준히 남는다, 이것이 에어비앤비의 매력
지금은 계절과 수요 변동을 고려해도 월 평균 100~150만 원의 수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이벤트가 있는 달은 170만 원 이상 수익이 발생하기도 하며, 손님의 재방문 요청도 늘고 있습니다.
특히 주말 요금은 유동적으로 조정하고, 최소 숙박일을 2박으로 설정하면서 회전율은 유지하고 운영 효율성도 높였습니다. 객단가를 지나치게 올리기보다,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선택한 덕분에 공실일도 적습니다.
저는 매달 수익의 일부를 ‘재투자 예산’으로 따로 적립하고, 분기별로 정기 지출을 점검합니다. 중요한 건 '많이 벌었느냐'가 아니라, 운영 가능한 구조를 만들었느냐입니다.
월 100만 원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1년이면 1,200만 원, 숙소 3개면 연 3,600만 원입니다. 이는 단기 아르바이트와는 차원이 다른, 내가 주도하는 수익 구조입니다.